목록국내여행지/산성 (104)
국내여행 Travel
금성산성은 해발 603m되는 산성산을 주봉으로 하고 연대봉·노적봉·철마봉 등 봉우리로 이어지는 능선을 따라 성벽을 쌓았다. 산성의 전체 길이는 약 5km에 달하며 행정구역은 북쪽과 동쪽은 전북 순창군 팡덕면 청계리에 연접되고 남쪽으로는 담양 금성면 금성리, 서쪽은 담양호가 연결되고 있다. 금성산성에는 동서남북 방향에 각각 외성문이 있다. 먼저 남문을 보면 본성인 체성에 있는데 남문의 200여m 아래에 외성과 외성문이 있다. 퇴락이 심하여 그 형..
덕주산성은 신라 경순왕의 딸 덕주공주가 피난하였던 곳이라고 전해 오는데 월악산의 산마루와 그 지맥을 둘러싸고 내성과 외성을 갖춘 나성(羅城, 외성)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곳은 문경과 충주를 잇는 도로를 차단하는 전략적 요새지이기 때문에 이 성은 차단성(遮斷城)의 기능을 지니고 있다. 대개 성벽은 화강암 자연석을 약간 다듬어 사용하였는데 현재 유구는 거의 무너졌으나 조선시대에 쌓은 남문과 북문, 동문 등이 남아 있다. 덕주산성은 현재 4..
이 산성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고 난 후인 숙종29년 (1703)에 국방에 대한 새로운 인식 속에서 해상을 방어할 목적 으로 축성된 것이다. 성은 내·외성으로 이루어졌고 성벽은 자연석으로 쌓았지만 중요한 부분은 가공한 무사석< 武砂石 >으로 쌓았으며, 성의 길이는 17,337m 이고 높이는 1.5 ∼3m 정도이며 면적은 약 8.213㎢ 에 달하는 거대한 성이다. 처음에 산성을 쌓은 것은 확실치 않으나 효종 6년(1655)에 ..
호점산은 회북면의 남대문리, 용곡리, 거교리에 걸쳐 있는 산이다. 호점산성은 산봉우리와 계곡을 감싼 형상이다. 대부분 돌을 쌓아올렸으나 경사가 가파른 서남쪽 일부 구간은 흙과 돌을 함께 쓴 것이 특징이다. 축성 시기는 삼국시대로 추정된다.
청주에서 보은으로 넘어가는 피반대령에 올라서서 개울물을 따라 내려가면 회인이 나온다. 회인의 매곡산에는 돌을 쌓아올린 아미산성이 있다. 거친 풍상에 훼손돼 형태를 가늠하기 어렵지만 곳곳에 남아있는 흔적들은 지역 방위에 한 몫 했을 아미산성의 존재를 증명하고 있다. 매곡산에 있다해서 매곡산성이라 불리기도 한다.
주성산성은 주성산 정상의 봉우리와 능선을 둘러싸고 있는 석성이다. 산성은 창리에서 2km 남짓 떨어져 있는데 관련 문헌이 없어 원래 이름과 축성시기 등을 알 수가 없다. 인근주민들도 '성재'라고 부를 뿐이다. 이 성은 보은과 청주를 연결하는 길목을 살필 수 있는 위치에 있다. 피반대령과 물길을 막아버리면 산성 아래를 통과하지 않고는 다른 길이 없었기에 전략적으로 중요한 곳이었다.
노고산성은 내북면 산성리 잣미산에 있었다. 축조시기는 삼국시대로 추정된다. 마을사람들을 통해 구전돼온 내용에 따르면 노고산성은 백제에서 쌓은 것으로 5km 정도 떨어진 삼년산성에 주둔했던 신라군과 대치했다고 한다. 그러나 서북쪽을 강화한 형태나 성안에서 출토된 유물로 미뤄 신라에서 쌓았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노고산성은 적과의 교전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었다. 주변 산세가 험난해 적의 공격이 쉽지 않은데다 청주와 보은의 길목을..